
정우창교수
- 공학관 327호 - 자동차재료연구실
- 053-850-2716 / 053-359-6620
- wcjeong@cu.ac.kr
전공분야
- 자동차용 철강재료 개발 및 철강부품 제조 프로세스 개발
- 학력
1985 박사 KAIST
1982 석사 KAIST
1980 학사 서울대학교
- 주요경력
POSCO 기술연구원 &RIST 책임연구원, 1985-1997
Researcher, Colorado School of Mines, USA, 1991-1992
산학연컨소시엄센터장, 경북테크노파크특성화센터장, 기계자동차공학부장, 공과대학장
현대하이스코, LG마이크론, 금형업체, 열처리업체 기술고문, 동원금속 사외이사, 한국산업단지공단 수석코디네이터
- 실험실 소개
자동차재료연구실에서는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고강도 철강재료 개발, 자동차 부품 업체의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철강소재 및 철강부품의 제조기술 개발, 제조비 절감을 위한 제조공정 개선 및 원가절감 연구, 철강소재의 품질개선 및 특성평가, Press Quenching(Hot Press Forming, Hot Stamping, Die Quenching, Press Hardening)기술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제조기술 개발 등 다양한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 주요 연구분야
Development of high strength steels for automotive body applications
Development of high carbon steel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Development of press-quenched automotive parts
Optimization of heat treating conditions in steels
- 수행 프로젝트
연속소둔 BP재의 경도불량감소 연구, 포스코,(1987)
40-45 kgf/mm2급 고가공용 고강도 강판 개발, 포스코, (1987)
냉연 초고강도 강판 (80, 100 kgf/mm2급) 개발, 포스코, (1987)
연속소둔형 고강도(50, 60 kgf/mm2급)강판 개발, 포스코, (1987)
고강도 냉연강판 개발연구,포스코, (1989)
고 배향성 방향성 규소 강판의 자구미세화 기술 (극박강판의 제조기술 연구), 과학기술처,(1989)
Shadow mask용 강판 개발연구, 포스코, (1989)
석출경화형 고강도 냉연강판 개발, 포스코, (1990)
소부경화성이 우수한 고가공용 고강도 냉연강판 개발, 포스코, (1991)
용기용 강판의 제조조건 설정연구, 포스코, (1992)
심가공용 소부경화성 고장력강 제조기술 개발, 포스코,(1993)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신 금속기술 개발 전략,공업기반 기술개발과제, (1994)
자동차 경량화 재료의 개발현황 및 향후 동향조사 (III), RIST 기술개발과제, (1994)
코일 결속용 대강 개발, 삼정강업(주), (1994)
BH형 심가공용 유기피복강판 개발, 포스코, (1995)
Shadow mask용 냉연강판의 etching 특성 및 가공성 개선연구, 포스코,(1996)
저온 열간압연에 의한 연질 석도원판 제조기술 개발, 포스코, (1996)
급속가열에 따른 냉연제품의 조직 및 재질 특성 규명, 포스코, (1996)
Shadow mask용 냉연강판의 forming 불량원인 조사 및 대책수립 연구, 포스코, (1996)
열연 코일의 강제 냉각 조건 최적화 연구, 포스코,(1996)
Inner Shield용 냉연강판 개발, 포스코, (1996)
극박 Shadow mask용 냉연강판 제조기술 개발, 포스코, (1997)
성형성이 우수한 자동차 차체용 고강도 신 철강소재 개발, 교육부 학술연구조성비, (1998)
자동차 Fork Bolt 및 Wedge Striker용 소재 국산화연구, (주) KDS, (1998)
신 자동차 도아보강재 개발,공업기반기술개발과제, (1999)
Mn 첨가 극저탄소강에서 저온변태상 생성조건 및 상분율 측정연구, 포스코, (2000)
자동차 배기계 파이프 연결부품 국산화를 위한 기반기술개발 연구, 산학연컨소시엄 과제, (2001)
EBSD법에 의한 Shadow Mask용 Invar 합금의 집합조직 연구, 학술진흥재단,(2001)
Mn 첨가 극저탄소강에서 미세조직 제어에 의한 BH성 개선, 포스코, (2002)
롤포밍에 의한 경량 자동차 시트레일 제조기술개발, 산학연컨소시엄 과제, (2002)
자동차부품의 열처리 불량 및 품질편차 감소기술 개발, 산학연컨소시엄 과제,(2003)
P 저감형 IF 고강도강의 강도 향상 mechanism 연구(I), 포스코,(2003)
민군겸용기술사업의 추진효율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3)
자동차부품의 부품별 열처리조건 최적화로 불량 감소 및 생산성 향상, 산학연 컨소시엄 과제, (2004)
P 저감형 IF 고강도강의 강도 향상 Mechanism 연구(II), 포스코,(2004)
고강도 냉연강판에서 저온변태 페라이트의 특성 연구, 한국과학재단,(2004)
신 IF 고장력 냉연강판 개발(I), 한국학술진흥재단, (2005)
자동차 변속기 기어용 주철의 열처리 불량 감소방안 연구, 산학연 컨소시엄과제,(2005)
복합조직강의 소성변형비에 미치는 Martensite Morphology영향에 관한 연구, 포스코,(2005)
QT 처리한 구상흑연주철의 부위별 경도차이 원인분석 및 대책 연구, 지역기술혁신센타, (2006)
저탄소강의 소성변형비 및 집합조직에 미치는 Mo의 영향, 포스코,(2006)
신 IF 고장력 냉연강판 개발(II), 한국학술진흥재단, (2006)
고온성형과 담금질의 동시공정에 의한 자동차샤시부품 제조기술개발(I), 지역혁신인력양성사업, 2007
IHLH Reinforcement Side Outer강종설계 및 기계적성질/미세조직 DB구축(I), 지식경제부, 자동차기반기술개발사업, (2007)
DP강의 성형성 향상을 위한 변태조직 제어기술 개발, 포스코,(2007)
고온성형과 담금질의 동시공정에 의한 자동차샤시부품 제조기술개발(II), 지역혁신인력양성사업,(2008)
차세대 U-AHSS급 자동차용 강판소재 및 이용기술에 관한 연구, 한국신철강연구조합, (2008)
IHLH Reinforcement Side Outer강종설계 및 기계적성질/미세조직 DB구축(II), 지식경제부,자동차기반기술개발사업, (2008)
고온성형과 담금질의 동시공정에 의한 자동차샤시부품 제조기술개발(III), 지역혁신인력양성사업, (2009)
자동차 에어컨 Compressor용 Journal Bearing 주조품의 맞춤형 노말라이징 기술 개발,기술혁신개발사업, (2009)
자동차 섀시 부품의 요구 물성 조사 및 차량 부품용 최적 철강소재 열처리 조건 도출, 포스코, (2009)
자동차부품 일체 성형 기술 및 금형 개발 연구, 현장맞춤형기술개발사업, (2010)
HPF강의 상변태 특성 연구 및 시작품 특성 평가, POSCO(주), 수탁과제, (2010)
차세대 자동변속기 핵심부품 생산기반기술 개발, 지식경제부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2010)
고탄소 자동차부품의 소재 및 제조공정 최적화 연구, NGV, (2010)
- 특허
특허등록 제 37020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39144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056291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056126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060763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102911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102977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112144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122188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143469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143478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151989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244630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276282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286680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345019호, 한국 특허
실용신안 등록 제 245595호, 한국 특허
실용신안 등록 제 0342811호, 한국 특허
특허출원 제 10-2006-24740호, 한국 특허
특허출원 제 10-2006-24743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0708760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0817240호, 한국 특허
특허등록 제 0842710호, 한국특허
특허출원 2- 2010-10-000578호, 한국특허
- 수상
대한금속학회 논문상
대한금속학회 재료조직사진상 4회
장영실상
대한금속재료학회 철재상
- 이전글최병선 23.06.01